Network3 gRPC 배경부터 활용까지 1. 등장 배경 1.1 Server-Client Model PC(Personal Computer)의 개념이 없던 시절, 프로그램은 하나의 메인 프레임에서 동작하는 Monolothic 구조로 설계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모든 기능들이 한 공간에서 구동되다보니 지금처럼 네트워크 통신이 크게 중요하진 않았을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소형 컴퓨터 장비들(PC, 워크스테이션 서버 등)이 등장하게 되고, 기업 입장에선 매우 고가인 메인 프레임워크를 비교적 저가의 워크스테이션 서버로 대체하고 싶어했지만! 메인 프레임워크의 초고사양 서비스를 워크스테이션 서버에서 그대로 제공하기엔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메인 프레임워크의 기능을 워크스테이션 서버로 분산시키고, 네트워크 연결로 서비스하는 방식을 채택하게되었다. 흔히 말.. 2020. 7. 26. 로드 밸런싱(SLB, Server Load Balancing) 기본 개념 패킷이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어디로 보내질지는 몇 계층 통신인가, 그래서 어떤 데이터를 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 구분은 OSI 7 Layer model에 기반한다. Layer 2 : Ethernet Header의 MAC address 구분 Layer 3 : IP Header의 IP address 구분 Layer 4 : TCP,UDP Header의 Port 구분, packet 조작, Session 관리 Layer 7 : Application 별 Payload 구분 (HTTP, RTSP 등) 이 중 여러대의 서버로 부하를 분산하는 로드밸런싱(SLB, Server Load Balancing) 기법은 일반적으로 L4 통신에 해당한다. 보통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포트를 기준으로 분산시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L.. 2020. 5. 12. CPS, TPS L4 용어 " L4에서는 CPS / L7에서는 TPS 용어 사용 " #CPS (Connection Per Second) 초당 TCP Connection을 생성할 수 있는 최대 개수 ex) 1 CPS : Client가 LB의 VIP로 접속하여 특정 서버로 분산된 후, 다시 세션을 끊는 하나의 과정 ex) 200,000 CPS를 지원하는 장비 = 1초당 200,000의 커넥션을 동시에 처리 Connection : 하나의 세션이 열고 닫히는 순간까지를 의미 200,000 CPS라 하면 X 7(열릴때(3-way) + 닫힐때(4way)) = 1,400,000 의 패킷이 오가는 것 #TPS (Transcation Per Second) 초당 최대 처리 건수 = 초당 교환되는 데이터의 수치 (L7 성능 지표) RPS(.. 2019. 4. 7. 이전 1 다음